1 |
2022 개정 연극영화 교육과정 연구: 영화 교과를 중심으로
|
이아람찬
|
1~14
|
0
|
2 |
상호교차성 페미니즘 관점에서 본 드라마 <파친코> : 교차적 억압이 캐릭터 형성에 미치는 영향
|
이정민
|
15~30
|
0
|
3 |
예술고등학교 교육과정 개선방향 연구 - 연극ㆍ영화과를 중심으로
|
이대영
|
31~51
|
0
|
4 |
고레에다 히로카즈 영화 <괴물>의 서사전략 연구 : 정보 제어 관점으로
|
송예진
|
53~68
|
0
|
5 |
무대 운동 이미지의 표현과 의미 상관성 - 이미지 도식과 체현 인지 개념을 바탕으로 -
|
백영주
|
69~85
|
0
|
6 |
학생 중심 예술 영화제 활성화 방안
|
김경배
|
87~103
|
0
|
7 |
미디어 아트영상제작을 바탕으로 한 예술영상제작 교육의 환경 연구
|
진승현
|
105~120
|
0
|
8 |
제주특별자치도의 가정·학교·지역사회 연계로 늘봄 교실: 보살핌의 윤리 ‘넬 나딩스(Nel Noddings)의 「행복과 교육」’ 중심으로 한 지역문화예술교육
|
안지언
|
121~145
|
0
|
9 |
Action Learning 기반 음악교양수업에서 대학생의 팀효능감과 수업만족도가 대인관계능력 및 문제해결태도에 미치는 효과 연구
|
한수정
|
147~179
|
0
|
10 |
교사의 문화예술교육 연수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
|
윤지영
|
181~195
|
0
|
11 |
한·중 실용음악 입시생 고등학교 3학년의 음악 이론 학습 성취도 비교 연구
|
남천홍
|
197~210
|
0
|
12 |
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재정 현황과 정책 개선 방안 고찰
|
손승혁
|
211~231
|
0
|
13 |
AI 음악 생성기 수노(Suno)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
|
양종모
|
233~254
|
0
|
14 |
예술고등학교 현황 조사 및 운영 방향 제안: 예술고 교육 행정 및 관리자, 예술 교육 연구자, 예술가의 경험으로부터
|
안지연
|
255~275
|
0
|
15 |
2022 개정 통합 교과용 도서로 살펴본 초등 저학년 국악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
|
김아현
|
277~299
|
0
|
16 |
무용학과 대학생의 창의적 마인드셋, 창의적 자기신념 및 동기의 프로파일 분석
|
장보경
|
301~322
|
0
|
17 |
개념 기반 탐구학습으로서의 음악 창작 교수·학습 방안 제안
|
정윤정
|
323~345
|
0
|
18 |
자가 수업컨설팅을 통한 연기교수법 연구- 경기대학교 ‘기초연기1’ 수업을 중심으로-
|
김혜주
|
347~366
|
0
|
19 |
인간과 생성형 인공지능의 협업: 고등학교 음악 수업에서 브이로그 제작 지도
|
정영선
|
367~381
|
0
|
20 |
실험영화의 프레임 연구
|
장민용
|
383~392
|
0
|
21 |
페미니즘 지리학 관점에서 본 영화 <82년생 김지영>의 공간 분석
|
윤장호
|
393~409
|
0
|
22 |
시네포엠을 활용한 영화치료 연구
|
송낙원
|
411~427
|
0
|
23 |
아녜스 바르다의 영화와 일상적 실천-영화 <다게레오타입들>을 중심으로
|
김동윤
|
429~444
|
0
|
24 |
아역, 청소년 배우의 자아정체성 유실과 혼란 현상에 관한 연구: 근거이론을 중심으로
|
양소영
|
445~467
|
0
|
25 |
대학 연극 공연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저작권제도 개선 방안: 공정이용법리의 적용
|
이영미
|
469~482
|
0
|
26 |
디지털시대의 미디어 무용의 창작 제작을 위한 과제와 대응
|
이인숙
|
483~501
|
0
|
27 |
국내 창작 뮤지컬의 ESG 가치 실현 사례 연구- 뮤지컬 <북극곰 로라>의 사례를 중심으로-
|
유채하
|
503~526
|
0
|
28 |
음악의 향유와 회복탄력성: 마음챙김의 매개효과와 카타르시스의 조절된 매개효과
|
김요완
|
527~543
|
0
|
29 |
태극권 융복합 예술의 문화콘텐츠적 가치에 관한 고찰- 태극권 융복합 퍼포먼스를 중심으로
|
유비
|
545~561
|
0
|
30 |
비올라 스폴린의 연극게임이 지닌 효용성 연구
|
함현경
|
563~578
|
0
|
31 |
Suno AI와 Udio AI로 만든 음악 작품 분석
|
박은비
|
579~596
|
0
|
32 |
음악과 보편성의 파동 : 트레이딩 분석법을 활용한 음악시장의 이해
|
천주성
|
597~618
|
0
|
33 |
The Process of Festivalization Througsssh the Formation and Production of Regional Culture: Focusing on the Gangneung Coffee Festivalss
|
윤학로
|
619~644
|
0
|
34 |
뮤지엄 관람객의 상호작용을 진작하는 사회적 사물과 질문의 중요성
|
이혜진
|
645~659
|
0
|
35 |
가야금산조 ‘중중모리’에 나타나는 시김새 분석 : 7개 유파 가야금산조를 중심으로
|
장원희
|
661~683
|
0
|
36 |
대학에서 예술분야 전공교육과정 인증모형 개발 연구
|
김혜경
|
685~703
|
0
|
37 |
교사와 학생의 정서적 유대감 증진을 위한 창의 예술치유 프로그램 개발 요구
|
김정혜
|
705~729
|
0
|
38 |
음악 창작교육 연구 동향
|
신혜경
|
731~750
|
0
|
39 |
구성주의 학습 환경 설계모형(CLEs)기반 인공지능(AI) 작곡 프로그램을 활용한 음악창작 수업 개발
|
한수현
|
751~770
|
0
|
40 |
한국의 미술정책 중장기 계획 동향 분석과 과제 : PESTLE 분석을 바탕으로
|
김혜인
|
771~792
|
0
|
41 |
백워드 설계를 활용한 프로젝트형 음악 수업 설계 방안 연구
|
이보림
|
793~813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