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공장지대에서 MZ세대의 여행 성지가 된 성수동 연구
|
김정원
|
1~13
|
0
|
2 |
Unet 모델을 활용한 토석채취지 모니터링 정확도 평가
|
박동환
|
14~28
|
0
|
3 |
드론 및 항공영상을 활용한 횡성댐 건설 전⋅후의 하천습지 내 토지피복 변화 연구 –횡성 포동습지를 중심으로-
|
정근비
|
29~41
|
0
|
4 |
페루 잉카제국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문화유산
|
최은영
|
42~53
|
0
|
5 |
시민과학을 활용한 인공습지의 생물서식 현황 조사 및 관리 방안 -경남 고성군 대가저수지 일원을 대상으로-
|
여인애
|
54~66
|
0
|
6 |
조선후기 기후변화와 범죄발생에 관한 연구 -강우량 변동과 사형범죄를 중심으로-
|
이준호
|
67~80
|
0
|
7 |
글로컬 시민역량 함양을 위한 e-PBL 활용 지리 수업의 개발과 적용 -예비 지리 교사를 대상으로-
|
옥혜신
|
81~97
|
0
|
8 |
태양고도 변화에 따른 UAV 기반 NDVI 비교 연구
|
유재진
|
98~110
|
0
|
9 |
대학생의 지역 정착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-강원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-
|
최용석
|
111~120
|
0
|
10 |
영양군 장구메기 습지 복원사업 전후의 수위 변화
|
이준호
|
121~130
|
0
|
11 |
지리 수업을 위한 청킹과 부호화 활용 협동학습의 개발 및 적용 –지형 용어를 중심으로-
|
안정기
|
131~150
|
0
|
12 |
합계출산율과 연령대별 인구이동률을 이용한 기초 지방정부 군집분석
|
최상한
|
151~164
|
0
|
13 |
경관의 비재현적 접근을 통한 지리 교수학습의 교육적 함의
|
범영우
|
165~182
|
0
|
14 |
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예비 지리교사의 상호문화 감수성 함양: COIL-PBL 수업의 적용과 효과
|
전보애
|
183~202
|
0
|
15 |
지리산국립공원 지형⋅지질자원의 분포 및 가치 평가 -5기 공원자원조사 성과를 중심으로-
|
신재열
|
203~215
|
0
|
16 |
여행과 관광을 구분 짓는 여행 지리 교과서 내의 ‘편견 내의 편견’
|
오정준
|
216~229
|
0
|
17 |
2022 개정 교육과정의 지역 관련 쟁점과 교육발전특구 정책 간 연계 방안 -경상북도 상주시를 사례로-
|
정성훈
|
230~239
|
0
|
18 |
한국의 전통원림(園林)에 대한 연구 -담양 소쇄원의 조영 원리를 중심으로-
|
윤병국
|
240~255
|
0
|
19 |
접경지역의 지역재생을 위한 지방소멸 대응방안 -철원군 마을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-
|
이나영
|
256~272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