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<이야기 주머니> 민담의 메타 이야기적 성격과 게임과의 비교
|
강혜진
|
5~42
|
0
|
2 |
유튜브(YouTube) 속 한자․한문 관련 콘텐츠 현황과 개선 방향
|
정용건
|
43~80
|
0
|
3 |
한국 TV 드라마의 장애 재현 - <사랑한다고 말해줘>, <반짝이는 워터멜론>을 중심으로 -
|
문선영
|
81~110
|
0
|
4 |
고전소설 훼절 모티프 속 지역민과 서울 사람의 형상에 담긴 의미
|
엄태웅
|
111~140
|
0
|
5 |
권구의 필기잡록 「謾錄」 연구
|
송근후
|
141~180
|
0
|
6 |
『大東韻府群玉』의 내용적 특성과 현재적 의미
|
최은주
|
181~210
|
0
|
7 |
신인추천제로 본 정지용의 시관과 전통주의 계보의 형성 - 『문장(文章)』을 중심으로 -
|
서진영
|
211~238
|
0
|
8 |
소설 텍스트 수정이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- 박태원의 『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』을 중심으로 -
|
윤새롬
|
239~262
|
0
|
9 |
고석규 비평의 문체론 연구 - 1950년대 문체론의 맥락에서 -
|
박현익
|
263~286
|
0
|
10 |
접사 ‘-꾼’과 그 선행어의 의미 ―‘-꾼’ 파생 명사의 형성 조건
|
최윤
|
287~318
|
0
|
11 |
미얀마인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분절음 오류 빈도
|
차재은
|
319~354
|
0
|
12 |
영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와 영어의 속격관계절 대조 - 한영 병렬 말뭉치를 통해 -
|
최은지
|
355~376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