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고해상도 광학영상 복원을 위한 딥러닝 기반 SAR-광학 영상 변환 모델 비교
|
박소연
|
881~893
|
0
|
2 |
UNet 기반 딥러닝 모델의 배치 크기 변화에 따른 영상 분할 성능비교 분석
|
백태웅
|
895~906
|
0
|
3 |
Generation of Simulated Satellite Images for the CAS500-4 by Inverse Orthorectification
|
김홍진
|
907~917
|
0
|
4 |
Sentinel-1 DInSAR 관측을 활용한 2017년 3월 Cerro Azul 화산불안 시기의 마그마 활동 분석
|
김서현
|
919~930
|
0
|
5 |
하태도의 에너지 자립섬 전환을 위한 건물 옥상 및 해상태양광 발전잠재량 평가
|
|
931~942
|
0
|
6 |
Small Ship Detection for Marine Search and Rescue: Construction of High-Resolution Training Data and Performance Evaluation Using Microsatellite Imagery
|
|
943~955
|
0
|
7 |
정규식생지수영상의 시공간적 결측 보정기법 개발
|
|
957~963
|
0
|
8 |
Cortex 기반 임베디드 PC에서의 별 모션 블러링 현상을 활용한달 탐사 큐브로버의 미끄러짐 판단 알고리즘 및 전력소비 분석
|
|
965~973
|
0
|
9 |
Comparative Analysis of Row Gradient and BRDF Corrections in UAV’s Multispectral Camera under Varied Cloud Cover
|
안호용
|
975~989
|
0
|
10 |
PlanetScope와 Sentinel-2 위성영상을 활용한 Swin Transformer 기반 산불피해 탐지 성능 개선: 다종 데이터 융합의 효과 분석
|
이도이
|
991~1004
|
0
|
11 |
지상기준점 패치 기반 드론 영상 자동 지오레퍼런싱
|
|
1005~1017
|
0
|
12 |
Validation of Spatial Boundary of the Ulleung Warm Eddy Using Altimetry
|
|
1019~1026
|
0
|
13 |
위성영상정보 개방, 가격, 라이선스 정책 수립 고려 요소 도출
|
|
1027~1038
|
0
|
14 |
딥러닝 기반 의미론적 분할을 활용한 크라우드소싱 라이다 데이터이상점 탐지
|
|
1039~1049
|
0
|
15 |
Transformer-Based Deep Learning Approach for Wildfire Burn Severity Estimation Using Drone Imagery in South Korea
|
서영민
|
1051~1065
|
0
|
16 |
Swin Transformer 모델과 PlanetScope 영상을 이용한 산사태피해지 탐지: 입력 정보 조합에 따른 성능 평가
|
안재성
|
1067~1077
|
0
|
17 |
해양 수색구조를 위한 유인기 기반 선박 탐지 최적 경로 생성 및성능 평가
|
|
1079~1093
|
0
|
18 |
Machine Learning-Based Mapping of Daily Methane Concentration in Rice Paddies Using Meteorological Data and Satellite Images: A Case of South Korea
|
장지아
|
1095~1108
|
0
|
19 |
기계학습 기반 지표면온도 상세화를 통한 COVID-19가 대구 도시열섬에 미치는 영향 분석
|
|
1109~1125
|
0
|
20 |
ECOSTRESS를 활용한 도시 내 하위지구 단위 열 취약성 평가: 부산광역시와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
|
전기성
|
1127~1139
|
0
|
21 |
Ship Detection in Dual-Polarization SAR Imagery Based on YOLO and Late Fusion
|
|
1141~1148
|
0
|
22 |
순환신경망 및 트랜스포머 구조의 다변량 시계열모델을 이용한 농업용저수지의 저수율 예측
|
박재성
|
1149~1162
|
0
|
23 |
국토위성영상을 이용한 건물과 도로 학습데이터셋 구축 및 딥러닝모델 개발
|
김리원
|
1163~1176
|
0
|
24 |
Development of Administrative District-Based Water Body Monitoring System Using Sentinel-1 SAR and Swin Transformer in South Korea
|
최소연
|
1177~1193
|
0
|
25 |
위성영상, 기상자료 및 지형자료를 이용한 AI 기반 논벼 수확량 예측: 2000–2023년 우리나라 시군단위 사례연구
|
심재웅
|
1195~1208
|
0
|
26 |
공간정보데이터 및 야간 위성영상을 활용한 북한의 도시활력 분석
|
|
1209~1217
|
0
|
27 |
Enhanced Vehicle Detection and Segmentation Using the SAMRS Model: Applications in High-Resolution Satellite Imagery
|
|
1219~1227
|
0
|
28 |
Correlation-Based Evaluation of GEMS Satellite Products Using Environmental and Meteorological Measurements
|
정예민
|
1229~1252
|
0
|
29 |
위성정보 데이터를 활용한 지리학 교육 콘텐츠의 기획 방법론 연구- 인천과 제주도의 지리학 교육 콘텐츠 사례 -
|
|
1253~1264
|
0
|
30 |
농업관측을 위한 다중분광드론영상 전처리 모듈 개발 및 적용
|
|
1265~1273
|
0
|
31 |
드론 초분광 자료 대기 보정을 위한 DROACOR 모델 평가
|
|
1275~1281
|
0
|
32 |
A Spatio-Temporal Analysis of Surface Albedo, Aerosol Optical Depth and Cloud Optical Thickness over East Asia Using COMS/MI Observations
|
|
1283~1288
|
0
|
33 |
Comparative Analysis of PyTAF and kd-tree Resampling Methods for Geostationary Satellite Data: Performance and Efficiency Insights
|
|
1289~1294
|
0
|